티스토리 뷰
목차
안녕하세요, 혜택언니입니다 😊
오늘은 1 주택자라면 꼭 알아둬야 할 재산세 혜택 소식을 들고 왔어요!
특히 공시가격 3~6억 원대 주택을 보유한 분들이라면, 이번 정책 연장으로 재산세가 확 줄어드는 효과를 체감할 수 있을 거예요.
💬 사람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질문!
“공시가격 4억짜리 집, 재산세 얼마나 줄어드나요?”
정답은?
✔ 기존 30만 원에서 약 17만 2천 원으로 줄어들어요!
무려 약 40% 절감! 꽤 큰 차이죠? 그렇다면그렇다면 이 정책은 왜 중요한 걸까요?
💡 개념부터 차근차근! 용어 먼저 이해해 볼까요?
🏠 공시가격이란?
정부가 매년 정해주는 '내 집의 공식적인 가격’ 이에요.
주택에 대한 세금, 건강보험료 등을 정할 때 기준이 되는 가격이죠.
📉 공정시장가액비율이란?
재산세는 공시가격의 100%가 아니라 일정 비율만 반영해서 계산해요.
이때 사용하는 비율이 바로 공정시장가액비율이에요.
예를 들어,
- 공시가격 4억 원
- 공정시장가액비율 45% 적용 → 1억 8천만 원이 과세 기준
- 여기에 세율을 곱해서 재산세를 계산!
즉, 이 비율이 낮아지면 재산세도 줄어드는 구조죠.
⏳ 그러면 원래 비율은 몇 %였을까요?
과거에는 60%였어요. 하지만 2021~2022년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면서 세금 부담이 너무 커졌죠.
그래서 정부는 2022년부터 1 주택자에 한해 비율을 낮추는 특례를 적용하기 시작했어요.
2023년부터는 공시가격에 따라 세분화되었어요
[공시가격 적용 비율]
3억 원 이하 | 43% |
3억~6억 원 사이 | 44% |
6억 원 초과 | 45% |
이번 개정안은 이 비율을 2025년까지 1년 더 유지하기로 확정한 거예요.
📉 예시로 살펴보자! 내 집 세금은 얼마나 줄어들까?
궁금하시죠?
예시를 들어볼게요!
- 💰 공시가격 4억 원
- 📉 공정시장가액비율 44% 적용
- 🧮 세금 계산 기준: 1억 7600만 원
- 🔁 기존 60% 비율(2억 4천만 원)과 비교하면 약 30% 이상 과세 기준 감소
그 결과?
👉 재산세 30만 원 → 17만 2천 원 수준으로 낮아져요!
매년 내는 세금이니까 체감 효과가 꽤 크죠.
❓ 정부는 왜 이 정책을 유지할까요?
서울·수도권을 중심으로 1 주택자들의 세금 부담에 대한 불만이 많아졌어요.
요즘은 부동산 시장도 조용한데 세금까지 높으면 소비가 위축되고, 경기까지 영향을 받을 수 있겠죠.
그래서 정부는
- 서민 주거 안정
- 세금 부담 완화
- 지역 경제 활성화
이 세 가지를 목표로 1주택자 특례 정책을 1년 더 유지하기로 결정한 거예요.
🏢 기업 관련 혜택도 있어요!
이번 개정안에는 기업을 위한 내용도 포함돼 있어요.
✔ 인구감소지역에서
✔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기업 소유 토지는
✔ 재산세율 0.2%의 저율 과세 + 종합부동산세 비과세
→ 이 혜택은 2029년까지 5년간 한시 적용됩니다. 지방 투자를 유도하려는 정책이에요.
✅ 요약정리!
✔ 1 주택자 실거주자라면 재산세 부담이 확 줄어요.
✔ 공시가격 3억~6억 사이 주택은 상대적으로 가장 큰 혜택을 받아요.
왜냐하면 고가 주택(6억 초과)은 감면율이 낮고, 저가 주택(3억 이하)은 원래 세금이 낮기 때문에, 이 중간 구간이 감면 체감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나기 때문이에요.
✔ 정부는 2025년까지 현재 비율을 유지하겠다고 확정했어요.
✔ 기업의 지방 투자도 유도해 지역 경제에도 긍정적 효과가 예상돼요.
💬 혜택언니의 한마디
집 한 채 가지고 있는 우리, 그리고 그동안 세금에 찝찝했던 많은 분들께 이번 정책은 가뭄 속 단비 같은 소식이에요 💦
어려웠던 재산세 계산도, 이제는 조금은 친숙해지셨죠? 앞으로도 혜택언니가 실생활에 도움 되는 정책, 쉽고 재밌게 정리해 드릴게요!
📩 궁금한 정책, 세금 뉴스, 이해 안 가는 용어 있으신가요?
댓글 또는 DM으로 보내주세요!
혜택언니가 쉽고, 정확하게 알려드릴게요 :)
'📊 정책 · 규제 뉴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트럼프 장남, 관세 유예로 6000억 원 수익? 시장조작 논란까지 정리! (0) | 2025.04.14 |
---|---|
트럼프, 스마트폰은 관세 유예…반도체는? 투자자들이 긴장하는 이유 (0) | 2025.04.13 |
싱크홀, 계속 터지는 이유는? 조사 미흡과 대책 총정리 (0) | 2025.04.13 |
2025 국민연금 개혁안 | 보험료율 인상부터 국가 지급 보장까지 완벽 정리 (0) | 2025.03.28 |
강남3구·용산구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| 앞으로의 부동산 시장은? (0) | 2025.03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