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살아가는 기술/• 정책 · 규제 뉴스

1주택자 재산세 얼마나 줄까? 공시가격 4억이면 세금 30만 원→17만 원

by 혜택언니 2025. 4. 14.
반응형

 

1주택자 재산세 얼마나 줄까? 공시가격 4억이면 세금 30만 원→17만 원

 

 

 

 

 

안녕하세요, 혜택언니입니다 😊
오늘은 1 주택자라면 꼭 알아둬야 할 재산세 혜택 소식을 들고 왔어요!
특히 공시가격 3~6억 원대 주택을 보유한 분들이라면, 이번 정책 연장으로 재산세가 확 줄어드는 효과를 체감할 수 있을 거예요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💬 사람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질문!

 

 

 

 

“공시가격 4억짜리 집, 재산세 얼마나 줄어드나요?”

 

 

 

 

정답은?


기존 30만 원에서 약 17만 2천 원으로 줄어들어요!
무려 약 40% 절감! 꽤 큰 차이죠? 그렇다면그렇다면 이 정책은 왜 중요한 걸까요?

 

 

 

 

 

 

💡 개념부터 차근차근! 용어 먼저 이해해 볼까요?

 

서울 서초구 상공에서 바라본 도심. 김창길 기자 [출처-경향신문]

 

 

 

🏠 공시가격이란?

 

정부가 매년 정해주는 '내 집의 공식적인 가격’ 이에요.
주택에 대한 세금, 건강보험료 등을 정할 때 기준이 되는 가격이죠.

 

 

📉 공정시장가액비율이란?

 

재산세는 공시가격의 100%가 아니라 일정 비율만 반영해서 계산해요.
이때 사용하는 비율이 바로 공정시장가액비율이에요.

 

예를 들어,

 

  • 공시가격 4억 원
  • 공정시장가액비율 45% 적용 → 1억 8천만 원이 과세 기준
  • 여기에 세율을 곱해서 재산세를 계산!

즉, 이 비율이 낮아지면 재산세도 줄어드는 구조죠.

 

 

 

 

 

 

⏳ 그러면 원래 비율은 몇 %였을까요?

 

 

1주택자 재산세 부담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완화된다. 사진은 지난달 17일 서울시내 아파트 밀집지역. /사진=뉴시스

 

 

 

과거에는 60%였어요. 하지만 2021~2022년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면서 세금 부담이 너무 커졌죠.

그래서 정부는 2022년부터 1 주택자에 한해 비율을 낮추는 특례를 적용하기 시작했어요.

 

 

2023년부터는 공시가격에 따라 세분화되었어요

 

 

[공시가격 적용 비율]

3억 원 이하 43%
3억~6억 원 사이 44%
6억 원 초과 45%

 

이번 개정안은 이 비율을 2025년까지 1년 더 유지하기로 확정한 거예요.

 

 

 

 

 

 

📉 예시로 살펴보자! 내 집 세금은 얼마나 줄어들까?

 

 

궁금하시죠?
예시를 들어볼게요!

 

  • 💰 공시가격 4억 원
  • 📉 공정시장가액비율 44% 적용
  • 🧮 세금 계산 기준: 1억 7600만 원
  • 🔁 기존 60% 비율(2억 4천만 원)과 비교하면 약 30% 이상 과세 기준 감소

 

 

그 결과?
👉 재산세 30만 원 → 17만 2천 원 수준으로 낮아져요!
매년 내는 세금이니까 체감 효과가 꽤 크죠.

 

 

 

 

 

 

❓ 정부는 왜 이 정책을 유지할까요?

 

7월 재산세는 주택분 재산세의 절반과 건축물, 선박, 항공기 분 재산세가 부과된다. 규모는 약 2600만건, 5조4000억원이다. 주택분 재산세의 나머지 절반과 토지분 재산세는 9월에 부과된다. 납부 대상자는 ▲ 은행 현금자동입출금기(CD/ATM) ▲ 위택스 ▲ 온라인 계좌이체 ▲ ARS(자동응답시스템) 등 다양한 수단을 이용해 재산세를 낼 수 있다.

 

 

 

서울·수도권을 중심으로 1 주택자들의 세금 부담에 대한 불만이 많아졌어요.

요즘은 부동산 시장도 조용한데 세금까지 높으면 소비가 위축되고, 경기까지 영향을 받을 수 있겠죠.

 

 

그래서 정부는

 

  • 서민 주거 안정
  • 세금 부담 완화
  • 지역 경제 활성화
    이 세 가지를 목표로 1주택자 특례 정책을 1년 더 유지하기로 결정한 거예요.

 

 

 

 

 

 

🏢 기업 관련 혜택도 있어요!

 

 

 

이번 개정안에는 기업을 위한 내용도 포함돼 있어요.

 

인구감소지역에서
산업용으로 사용되는 기업 소유 토지
재산세율 0.2%의 저율 과세 + 종합부동산세 비과세

 

→ 이 혜택은 2029년까지 5년간 한시 적용됩니다. 지방 투자를 유도하려는 정책이에요.

 

 

 

 

✅ 요약정리!

 

✔ 1 주택자 실거주자라면 재산세 부담이 확 줄어요.

 

공시가격 3억~6억 사이 주택은 상대적으로 가장 큰 혜택을 받아요.

왜냐하면 고가 주택(6억 초과)은 감면율이 낮고, 저가 주택(3억 이하)은 원래 세금이 낮기 때문에, 이 중간 구간이 감면 체감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나기 때문이에요.

 

✔ 정부는 2025년까지 현재 비율을 유지하겠다고 확정했어요.

 

✔ 기업의 지방 투자도 유도해 지역 경제에도 긍정적 효과가 예상돼요.

 

 

 


 

 

💬 혜택언니의 한마디

집 한 채 가지고 있는 우리, 그리고 그동안 세금에 찝찝했던 많은 분들께 이번 정책은 가뭄 속 단비 같은 소식이에요 💦

어려웠던 재산세 계산도, 이제는 조금은 친숙해지셨죠? 앞으로도 혜택언니가 실생활에 도움 되는 정책, 쉽고 재밌게 정리해 드릴게요!

 

 

 

📩 궁금한 정책, 세금 뉴스, 이해 안 가는 용어 있으신가요?
댓글 또는 DM으로 보내주세요!
혜택언니가 쉽고, 정확하게 알려드릴게요 :)

 

반응형